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저번에는 네이티브 코드와 함께 쓰는 리액트 네이티브 프로젝트를 구성해봤습니다.
해당 프로젝트 구성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android , ios 폴더는 각각 네이티브 프로젝트 폴더입니다.
react-native 빌드를 실행하고 나면 각각 네이티브 프로젝트에 반영됩니다.
리액트 네이티브 코드는 index,android.js 와 index.ios.js 에 있습니다.
여기에서 화면을 어떻게 그릴지 어떤 동작을 할지 지정하게 됩니다.
각각의 컴포넌트 구성요소를 그리고 스타일을 정의하는 코드들이 보입니다.
리액트 코드를 이용해서 UI를 그리도록 하는데, 다음은 component 폴더에 Custom Component를 만들고
그것을 화면에 가져와서 사용하는 법에 대해서 적겠습니다.
안드로이드 빌드를 한다면 터미널을 통해,
rannte-ui-MacBook-Pro:hyun cyber7eyes$ react-native run-android
를 실행하면 연결된 디바이스에 adb를 통해 빌드 후 업로드됩니다.
'프로그래밍 > REACT NAT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역] React Native MobX 특집 1편 : 상태관리를 redux에서 mobX로 바꾼 이유 (0) | 2017.12.07 |
---|---|
[번역] React Native LifeCycle 한번에 정리하기! (0) | 2017.12.06 |
[번역] React Native에서 Native UI Component를 사용해보자(iOS편) (0) | 2017.12.05 |
[번역] React Native에서 Native UI Component를 사용해보자(Android편) (0) | 2017.12.05 |
리액트 네이티브 프로젝트를 시작해보자. (1) (0) | 2017.09.25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중쇄를찍자
- Redux
- 우래옥
- android
- Qiita
- 편육
- 필동면옥
- 일드
- 리액트 네이티브
- 브이로그
- 평양면옥
- 을지면옥
- 리액트
- 리액트네이티브
- 수요미식회
- observable
- 도쿄
- 덴뿌라
- 안드로이드
- 평양냉면
- 도쿄맛집
- 청계천 맛집
- 맛집
- 여행
- mobx
- 을지로3가
- 야키니쿠
- 일본여행
- react native
- 쿠로키 하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